
보톡스가 국내에 선보인 지 올해로 만 10년이 되었다. 페니실린 이후 '제2의 기적의 신약'으로 평가받고 있는 보톡스는 1989년 미국 FDA에서 안전성을 공인받은 후 미용, 질환, 통증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보톡스의 원리는 근육과 신경사이의 접합부에서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물릴로 알려진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마치 근육에서 신경이 차단된 것 같은 효과를 얻는데 있다. 즉 보톡스를 주사하면 그 부위의 근육이 이완되어 과도한 근육 수축에 의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 얼굴의 주름은 표정 근육의 다이내믹한 움직임에 의해 생기며 이런 표정 근육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근육이 약화되고 마비되면서 근육의 움직임이 없어져 표정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용 성형에 주로 보톡스가 사용되고 있지만 처음에는 미국 FDA에서 강직성 사시, 안면 경련, 안검 경련의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보톡스는 60(치료) : 40(미용)으로 치료에 더 많이 사용된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지강직, 전립선비대증에 보톡스를 사용하면 50% 이상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여름이면 더욱 괴로운 다한증 환자는 수술 없이 간단하게 보톡스 주사만으로 다한증을 치료한다. 대부분 다한증 수술은 흉강 내의 교감신경을 잘라내는데 이는 전신마취를 해야 하며 수술 후 흉터가 남는다는 부담감이 있었다. 양쪽 겨드랑이에서 8시간당 4컵이나 되는 땀을 흘리는 사람에게 보톡스를 시술한 결과 분비량이 85% 이상 감소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의학 잡지 <NEJM>에 발표된 바 있다.
미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보톡스의 주 적응증은 얼굴의 표정과 관련된 주름을 완화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얼굴 윤곽이 달라지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들은 중력, 지속적인 표정근육의 움직임, 피부 탄력의 변화 등이다. 이중 보톡스는 지속적인 표정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한 주름의 완화에 효과가 있다. 두번째가 근육의 부피를 줄이는 목적으로 시술되며, 근육이 활발하게 운동을 하면 부피가 늘어나고 운동을 하지 않으면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하는 시술이다. 보톡스를 근육에 주사하면 근육움직임이 없으져 자연스럽게 근육의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활용하는 시술이 사각턱 보톡스이다.
보톡스를 맞으면 혹시 중독이나 다른 합병증 등이 있지 않을까 하고 고민하는 분들이 있는데, 상담하러오시는 분들 중 보톡스에 거부감을 가진 대부분의 경우 보톡스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보톡스는 중독성이 없고 맞다가 그만두더라도 주름이 악화되지도 않는다. 5 ~ 6개월 간격으로 맞는 것이 귀찮을 수도 있으나 잘못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돌아온다는 장점을 덮어버릴 수는 없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하루 하루가 달라진다는 푸념을 많이 하는가? 1년 동안 10분의 시간으로 '주름 시계'를 멈출 수 있다는 것이 꽤나 매력적이지 않는가?
'성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인의 미용수술 (0) | 2006.09.21 |
---|---|
주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자외선 차단제 (0) | 2006.09.14 |
나에게 맞는 쌍커풀은? (0) | 2006.09.13 |
성형외과를 찿기 전 해서는 안 될 7가지.. (0) | 2006.09.12 |
마스크 이야기 (0) | 2006.09.11 |
한국인 65% "내 남친 여친 성형수술 찬성?" (0) | 2006.08.24 |
Unknown unknown (0) | 2006.08.23 |
섬세한 성형수술을 위한 루뻬 ( Loupe ) (0) | 2006.08.11 |
스타일링의 미학 레이어링 (0) | 2006.08.10 |
수술 후 멍과 붓기 (0) | 2006.08.07 |